'비평'의 의미와 가치

2017. 2. 23. 13:37Architectural Studies/History & Theory

건축 비평이란 무엇인가


'비평' 의미와 가치         

기적의 도서관 비평




비평이란 한편의 기준 규범을 토대 평가하는 활동이다. 평가는 대상의 분류에 따라 다른 기준의 범주로 행하여 지는데 건축은 다른 분야보다 분류의 애매성을 갖으므로 평가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다양하. 이는 건축 특정한 목적을 위해 활용될 실용적 도구로 생각됨과 동시에 미학적 감상의 대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건축가는 그의 시각으로 본질을 디자인적 개념과 방법으로 물질에 표현한다. 실용적 기능 외에 어떠한 의미를 특정 언어로 풀어 표현함에 건물의 가치는 더욱 풍부해진다또한 대부분의 건물은 장소에 정박되어지므로  공간적 주변을 형성하는 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독립적 존재로 해석되어 없다. 그러므로 자연적, 문화적, 사회적, 환경적 맥락속에서 그의 기능과 가치를 평가해야만 한다. 또한 비평가 역시 건축적 접근 방식과 시각을 밝혀냄으로 그의 시각 역시 표출한다. 건축 비평은 가치판단과 평가로 성찰적의미로 현재를 재고 하고 이에 따른 미래를 가늠하는 활동이다. 건축은 무엇인가 하는 근본적 질문을 비평에 의해 다시 제기되고 검증되어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2004년 11월 [공간]지에 개재된 ‘기적의 도서관을 보면 건축 비평의 기준과 가치를 살펴볼 수 있다. 2003년 초 책읽는 사회MBC느낌표프로그램은 기적의 도서관이라는 어린이 도서관 건립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건축가 정기용과  7개 지역에 각기 다른 어린이 도서관을 건립하였다. 박성진 기자의 기적이 남긴 물음표에서는 건축물의 기능인 어린이 도서관을 보는 건축가의 관점(어른들의 상상력이 소거된 순수한 공간을 의미하는 창고’)을 자의적 해석이라 비평하며  이 프로젝트가 갖는 프로그램적, 사회적 방향에서의 문제점들에 대해 지적하고 있다.  조성룡 건축가의 기적의 도서관은 기적이 아니다는 어린이 도서관을 보는 정기용의 시각을 건축공간안에서 해석하며 그에게 따뜻한 격려를 하는것을 볼 수 있다.  건축가 황두진의 찰나와 영원:방송과 건축에서는 방송에서 그려지는 건축과 건축가의 모습을 획일화되게 묘사함을 비평하였다. 선천,진해,제주,서귀포에 위치한 기적의 도서관을 외부와 건물의 관계를 설명하며 도서관을 사용자의 시각에서 시적으로 묘사하였다. 또한 공동체적 문화 형성의 좌표를 개재하며 책읽는사회대표, 소설가,건축,도서관관장,건축대학 교수, 편집자를 대동하여 갖은 좌담회를 통해  이 프로젝트를 다양한 시각에서 실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적의 도서관 프로젝트를 비평한 5개의 글은 각기 다른 시각에 상이한 평을 내린 것을 볼 수 있다. 이 처럼 건축은 다양한 맥락 속에 읽힐 수 있으며 이가 갖고 있는 가치는 다양하다. 이러한 비평을 통해서 건축 디자인시 우리가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알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결과 역시 유추해 볼 수 있다. 

'Architectural Studies > History & The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ERN ABSTRACT  (0) 2017.02.23
Photography  (0) 2017.02.23
LANGUAGE OF VISION  (0) 2017.02.23
“transparency”  (0) 2017.02.23
건축의 내부와 외부 (작업중)  (0) 2017.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