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 현대 미술 노트

2018. 5. 23. 15:47Everyday Projects/# Read 100 books


"시간"을 인지하는 것, 시간성은 사람에게 감동을 준다. 영화 "보이후드"에서 한 아이의 12년 소년기를 보며 먹먹해지고, 사그리아 파밀리아 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를 투과해서 들어오는 빛을 보며 신의 시간을 느끼기도 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 즉 시간의 개념은 시대 또는 문화권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전통적인 동양철학에서 시간은 순환적이고 유대/기독교에서는 선형적이며 근대 과학과 문화에서는 상대성과 동시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미술사에서 명백히 들어난다. 동양철학 중 순환적 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윤회사상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 사람은 삶이 거듭된다는 믿음을 갖는 것으로 불교회화에서 종종 드러나는 주제이다. 선형적 시간개념은 무한히 연속되는 시간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연결되는 개념이다. 기독교 회화에서 한작품 또는 연속되는 작품을 통하여 내레티브를 이야기한다. 현대에 와서야 시간의 상대성과 동시성이 나타났다. 

 






의 개념은 문화마다 

책에서는 현대미술에서 시간의 개념을 주제로 매체, 개념, 접근법에 따라 작품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첫번째로 현대 미술사에서 나타난 시간을 주제로한 접근법은 대개 세가지로 나타난다. 연속, 시간의 흐름, 영구적 시간  


접근법:

- 연속 sequence:  

  시작, 중간, 끝 내러티브로 구성되지 않는 연속적 시간을 의미하며 이야기, 내용 보다는 움직임으로 시간성을 내포한다. 

  작품전체가 시간 계측기(시계)같이 보인다.

  작품은 무한하게 연속되는 의미없는 (기계적) 작동 비디오/또는 구조를 갖는 특징을 갖고 있다.


- 실제 시간의 흐름을 체험

 많은 시간을 투자한 구조물을 보고 물체가 갖는 시간의 축적을 경험한다.

 창의적인 유희를 위해 시간을 투자하는것은 산업사회의 일상에서 가치를 두는 시간 개념과는 상반되는 태도를 갖는다.


-영구적 시간감각

 연속되는 시간보다 순간적인 시간 감각을 전달함으로 순간을 동결시켜 재현한다. (이를 시간의 육화라고 한다.)

예시로 폭파되는 것의 순간을 조각물로 재현



시각예술은 고정된 매체를 활용하기 때문에 시간의 표현이 상징과 암시를 활용할 수밖에 없어다.(173p)

미술에서 등장하는 원형은 순환 또는 영원의 상징, 기독교 미술은 이야기를 연속된 장면으로 그림


1. 고정된 형태로 시간을 재현

2. 움직이고 변화하는 형태로 시간을 육화 


3. 두 접근법의 혼성


시간의 재현


재현: 작품이 그 자체를 넘어서 어떤 주제를 언급하는 상징적인 과정


시각적 상징

순간의 재현


다중삽화를 통한 내러티브

단일 구성의 내러티브_서구 회화

움직임의 순간을 정지시켜 보여줌-드가 발레하는소녀

변화를 통한 관찰



시간 인식을 공간에서 움직임과 연결- 아인슈타인의 물리학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심리학, 앙리 베르그송의 철학, 제인스조이스, 마르셀 프루스트의 문학에서 드러나는 시간관- 

입체주의 -대상의 시점과 각도를 고정된 구성에서 결합하여 시간의 파편화

미래주의- 하나의 구성에서 연속동작의 결합 또는 정지된 시간의 묘사

발견된 재료- found material 의 전유및 재활용


시간을 육화하기


소요된 시간을 반영하는 물리적 증거


1. 작품이 실제 움직인다.

2. 움직이는 황영을 만들어내는 매체 이용

3. 완성된 결과물보다 과정이 더 중요하고 존재하는 동안 재료와 형태가 의도적으로 끊임없이 변화한다.


시간의 변화하는 관점


순환적시간-계절

선형적시간-시계

동적인시간-(최신의 시간관)


가상이란 환상의 영역으로 시간을 초월하는 특징을 갖는다. a-temporal 왜냐면 역사의 조건에서 해방되었기 때문이다.

시간의 속력, 향수나 후회를 느낄때도 시간은 감정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그때의 감정은 현재의 우리와는 아주 멀리 떨어져 있는 사건이나 특성에 대한ㄴ것이다. 만약 시간이 지나도 느낌이 계속 지속된다면 그감정은 분위기(mood)가 된다.  메멘토 모리는 시간에 은유적 의미를 덧씌운다.

아인슈타인은 주관적 감정이 우주 어디에나 적용된다고 가정할수 없다라고 한다. 



시간의 구성요소 지속, 속도, 리듬, 방향 등 시간의 구조를 조정, 수정, 분절, 용해시키는 방법


시간의 파편화- 기억과 꿈에서 시간의 구조가 끝ㅎ임없이 끊어지고 의미는 덧없이 부유한다.


리듬의 변화- 가속 또는 느림


극도로 느리게 움직이면 사건을 지켜보는 것은 전체 구조에 대한 감을 잃어버리고 사건이 일어나는 바로 그 순간에 온전히 사로 잡히는 경향

영화 느리기- 내러티브 구조를 변화시키고 부분적으로 용해시키는 방식


끝없음의 탐색(ENDLESSNESS)

끝없음은 무한과는 다른 개념으로 무한이 정신적 깨달음을 통하여 초월적 우주의 무한을 보는 것과는 다르게 생활의 의미없는 세부를 따분하게 되풀이하는 극도의 지루함-신경증적 강박에서 첵바퀴 돌리듯 반복이 끝없음이다.

시간과 노동력, 굴욕ㅈ적인 사회통제등이 주제가 될수 있다. 


과거를 개조하기


기존의 미술작품이나 시각문화 이미지를 인용한다면 해당 작품의 부분적으로나마 기억이나 역사와 관련지어 해석하게된다.



언론_집단기억을 구성하는 데 매개역할을 하는 언어의 힘


과거를 기념하기


데이터뱅크와 이미지 트랙에 더 많은 기억이 저장될수록, 우리문화가 기억하려는 의지와 기억할 수 있는 역량은 점점 더 줄어든다. _개인 또는 공동체로서의 기억하는 능력을 포기하고 대신 기술이 보충한 인공적이고 매개된 메모리 뱅크에 의존하려고 하고 있다. -아카이브의 동시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