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기록물
검색하기

블로그 홈

기록물

honneeheas.tistory.com/m

honneeheas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스케치 학생때 엄청난 한량인줄 알았는데 다름 생각도, 고민도 많았었던 것 같다. 내가 왜 이게 좋지?? 이건 뭐때문에 사람들이 좋다고 하는거지? 나름대로 답을 찾으려고 했었던듯..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4. 30.
  • 홍익대학교 건도시대학원 3차 설계_세월호추모관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2. 25.
  • 2015_대한민국 건축대전 (2차) 북정마을의 자생적 재생을 위한 자생마을 재생 건축사용 설명서 공감수 2 댓글수 2 2016. 12. 19.
  • 2015_대한민국 건축대전 (1차)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9.
  • 2015 SDW_(1단계 주제) Play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9.
  • 홍익대학교 건도시대학원 1차 설계_파빌리온 파빌리온의 아트전시는 흔히 대중들에게 어려운 소재일수 있는 예술을 일상의 영역으로 끌어드려 관람객들이 보다 쉽게 예술을 접근하여‘예술과 대중을 중재’하는 기관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축가에게 건축을 하나의 예술장르로써 자신의 건축관 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번 프로젝트인 서울 광장 파빌리온 전시는 본 목적이 상실된 서울 광장을 사용하여 시민들을 위한 문화활동과 예술교육을 제공하며 건축을 위한 연구의 목적으로 사용을 기한다. 국립 현대 미술관 그리고 대한 건축사 협회가 주관하는 서울 광장 파빌리온 전시는 매년 1회 (5월과 6월)약 2개월에 걸쳐 주최 취지에 적합한 건축가를 선정, 전시 기준에 부합하는 건축물을 시청앞 서울 광장에 전시 한다. 주최 취지, 전시 기준..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9.
  • UNSW 3학년 Design Studio_Gallery in Lightning Ridge (Glenn Murcutt Studio)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9.
  • UNSW 3학년 Design Studio_Bondi Apartment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9.
  • UNSW 2학년 Design Studio_Villa Muller (Adolf Loos) 사례분석 2학년 건축설계에 들어가기 전 2개의 사이드 프로젝트를 했었는데 하나는 사례분석이고 하나는 공간디자인이였다. 당시 건축설계교수님을 생각해보면 굉장히 훌륭한 분이셨던것 같다. 도서관 프로젝트 같은 경우 "Reciprocity","Materiality","Threshold","Insertion" 이라는 건축적 용어에 대해 담론(?)을 하며 현황을 다이어그램으로 풀어올때 생각할 거리를 주었으며 이번 미술관 프로젝트 경우 3명 씩 팀을 짜서 건축물 하나를 선정하게하여 (리스트는 주어졌다.) 도면 렌더링, 파르티, 모형만들기 과제를 하였다. 도면 렌더링을 하면서 평면을 이해하고 파르티를 그리면서 건축의 구성등을 이해하게 하고 최종으로 모델을 만들어 이것들이 어떻게 공간으로 나타나는지 보게 하였다. 그당시는 아돌프..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5.
  • UNSW 2학년 Design studio_Matraville Library 메트라빌 스케이트 도서관 '메트라빌' 우리나라로 치면 '~~동' 주거지역에 작은 도서관을 설계하는 것. 건축적으로 특별한것을 요구하기보다 좀다 실용적인 설계를 제한하면서 건축의 도시적 맥락과 효용성, 기능을 공간에서 어떻게 수반할것인가를 배우는 설계였다. 하지만....당시 자하 하디드에 빠져있었던 난.... 스케이트를 위한 도서관을 설계한다. 현황분석중 인근에 학교가 많이 있던것을 보고 청소년의 여가활동공간을 지원하는 지역 여가거점으로서의 도서관을 설계하고 싶었다. 호주 같은 경우 바닷가 근처 스케이트보드 시설물이 있는것을 볼 수 있는데 (내가 볼땐) 불량 청소년들의 아지트 같은 느낌도 없지 않아 있었다. 따라서 길에서나 스케이트공원에서 스케이트를 타는 대신 도서관에 와서 스케이트 시설물들을 이용하고 그와 동시에 그들의 문화/여..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5.
  • UNSW 2학년_ Structure and Construction 발사우드를 사용해서 모델도 제작했으나... 찾을 수 없음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5.
  • UNSW 2학년 BIM 당시 2009년 호주의 대형회사 들도 직원들에게 BIM수업을 하는 등 캐드에서 BIM으로 설계방식을 바꾸려고 하는것으로 알고 있다. 학교에서 역시 교과과정중 BIM을 배우는 수업이 전공필수로 있었는데 수업의 최종과제로 제출했던 것들이다. 정해진 사이트에 상업공간과 3 unit의 주거공간을 설계해서 BIM으로 구축하여 도면화하면 된다. 모델링만 잘해두면 원하는 단면을 빠르고 쉽게 뽑아낼수 있고 건축하는데 쓰이는 창문, 문, 자재 등을 리스트업 할 수 있다. 단순해 보이지만 프로그램을 습득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려서 학교에서 밤을 새는데 주장본인이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16. 12. 15.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