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를 위한 신축 계획시 고려되어야 할 비용 산정

2018. 10. 2. 15:05Projects/01. Multi-Housing in Eng Arm



01. 대지 구입 비용

 부지 구입비


02. 토지 및 건축물 취득세(취등록세)

구입비 X 합계세율


*2018년도 기준

03. 토목 설계 및 인허가비

100평 기준으로 3~400만원


04. 건축 설계비

건축사법에 따르는 건축설계비 산정 시 연면적 100평 기준으로 설계비는 1900만원

( 총 설계비를 100%로 잡을 때 계획설계 20%, 중간설계시30%, 실시설계시 50%)

:건축사협회 (http://www.kira.or.kr/jsp/main/03/06_01.jsp)

현재 일반적으로 감리는 지정감리제도로 바뀌었다. 허가이후 착공시청전에 지정감리 신청을 하여 지역건축사를 배정받고 건축주와 계약을 한다. 감리비는 협회에서 지정해주는 비용으로 산정되나 설계비와는 다르게 필로티면적, 지붕층 바닥면적, 다락바닥면적, 서비스면적을 포함하여 계산된다. 


감리비는 100평 기준 약 7~800만원


2018년 12월 부터 3층이상 필로티 구조의 경우 설계 및 감리과정에서 관계기술전문가(건축구조)의 협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허가 이후 구조회사와의 건축주의 계약이 필요하다. 비용은 약 200만원 전후


05. 건축 인허가비

평당 10만원

인허가비의 경우 지역마다 다르게 적용


06. 농지전용부담금

논 또는 밭과 같은 농지를 대지로 변경하여 건축하려고 할때 공시지가 30% 비용의 농지 전용 부담금이 발생된다.


07. 철거 비용

부지 내 건축물이 있는 경우 멸실 신고 후 철거 약 300~500만원

: 2천만원


08. 공사 전 준비단계

착공계 신청후 공사를 위한 전기, 수도 등이 필요하다. 비용은 약 50만원 전후 그리고 공사 완료후 가스 인입을 위한 약 30만원 전후로 소요


09. 건축공사비


현재 시장에서 형성된 시공비 (설계, 조경등과 같은 비용을 제외한 건축물의 시공비)는 아래 표와 같다.


구조 

 가격(평)

 목조주택

450~500만원 

 철근콘크리트

 550~600만원

 스틸하우스

 470~520만원

 패시브하우스

 700~1000만원


건물의 구조, 설계, 재료에 따라 상이하지만 최저 평당 450만원으로 산정한다. 

* 엘리베이터 신규 설치 시 승강기와 설치 비용 포함하여 대략 8천만원 




10. 기반시설 인입비

전기, 수도, 가스와 같은 기반시설이 구축되어 있는 도심지역과 달리 그렇지 않은경우 기반시설 인입비용이 발생한다. 평균적으로 600만원~1000만원 소요


11. 정화조 설치비

도심지역에서는 도로에 오,폐수 시설이 매설되어 연결하면 되지만 정화조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정화조를 설치해야한다. (일반 정화조 설치시 250만원, 수질보호구역의 경우 설치해야하는 오수합병 정화조의 경우 500만원)


12. 경계측량, 지적현황 측량

지적공사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며 100평을 기준으로 80~100만원의 비용이 발생한다.


13. 가구비

싱크대, 신발장, 붙박이장 등 건축비의 10~15%로 산정 (일반적으로 시공비에서 제외)


14. 조경 공사비

잔디시공비는 평당 5만원

디딤석/석재와 혼합시 10만원

담장은 미터당 10~15만원

100평의 전원주택의 경우 평균적으로 800만원 소요


15. 우수관로 공사비

마당에 배수를 위하여 집주변과 마당에 우수관로 공사를 해주어야한다. 

100평을 기준으로 약 300만원 비용 발생


16. 건축물 취득세

약 공사비의 2%정도 발생


17. 건축물 등록세

약 공사비의 0.8%정도 발생


18. 교육세

건축물 등록세의 20%정도 발생


19. 농어촌 특별세

약 취득세의 10%정도 발생


* 참고: 따뜻한 전원주택을 꿈꾸다, 이정임 외 2인


01. 예산

서울 내 연면적 100평 가량의 점포주택 신축시 건축 비용

대지비용(세금포함) :  7억1700만원

설계비+감리비      : 2천5백만원

공사전비용(철거 및 수도전기,측량):  680만원:

건축공사비          : 4억5천만원

시공외 공사비      : 1천만원

신축 후 세금        :약 1천4백만원


약: 5억580만원 (세전: 4억9천만원)



대지비용

  약 7억

 70,000만원

 취득세

  7억*2.4%

 1,680만원

 토목설계 및 인허가비

 -

 -

 건축설계비/감리비

 

2,500만원 

 건축인허가비

 -

 -

 농지전용부담금

 -

 -

 철거비용

 

 500만원

 공사전 준비단계

 

 80만원

 건축공사비

 100평*450만원

  4억5천만원

 기반시설인입비

 -

 -

 정화조설치비

 -

 -

 경계측량

 약 100만원

 100만원

 가구비

 

 1천만원

 조경공사

 

 약 100만원

 우수관로공사

 -

-

 건축물 취득득세

 공사비의 2%

 약 900만원

 건축물 등록세

 공사비의 0.8%

 약 400만원

 교육세

 등록세의 20%

 약 80만원

 농어촌 특별세

 -

 -



'Projects > 01. Multi-Housing in Eng A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12.13 주거의 의미  (0) 2018.12.13
다세대 주택 설계과정  (0) 2018.12.12
2018.12.11 실무진 1차 회의  (0) 2018.12.12
황토집  (0) 2018.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