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기록물
검색하기

블로그 홈

기록물

honneeheas.tistory.com/m

honneeheas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2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2020년 읽을 책 리스트 2020년 읽을 책 리스트 라파엘 모네오가 말하는 8인의 건축가 Ten Canonical Buildings: 1950-2000/ Peter Eisenman Experiencing Architecture / Eiler Rasmussen Signs symbols and architecture The Seven Lamps of Architecture / John Ruskin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 Robert Venturi Conversations with Students (Architecture at Rice) / Louis Kah The Image of the City / Kevin Lynchn Learning from Las Vegas / De..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12. 3.
  • 5/29 다른방식으로 보기_존 버거 1. 보는것 "말 이전에는 보는 행위가 있다. 아이들은 말을 배우기 앞서 사물을 보고 그것이 무엇인지 안다." 우리는 감각적으로 시각정보를 받아드린다. 하지만 보는것은 우리가 아는것에 영향을 받는다. 우리가 알고 있는것, 믿고 있는것이 사물을 보는 방식을 결정한다. 우리의 시각은 즉각적으로 우선적으로 반응하지만 본다는 행위는 기계적으로 자극에 반응하는 단순한 문제가 아니다. 보는것과 아는것의 관계는 끊임없이 변화하며 결코 한가지 방식으로 정해져 있는게 아니다. - 지옥을 믿는사람이 불을 보았을때랑 믿지않는 사람이 불이보는 방식은 다르다. - 우리는 관심을 끄는것만 본다. 배경과 형상(들뢰즈)----우리의 선택의 결과 촉각과 흡사하다 제한되어있다. 선택적인다. 능동적이다. - 보는 행위는 우리의 위치를 결..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5. 29.
  • [2019. 1.24] 05. 일본식 소형주택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2. 7.
  • [2019. 1.6] 04. 심플하게 산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2. 7.
  • [2019. 1.16] 03. 집을 순례하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2. 7.
  • [2019. 1.17] 02. 인생학교 정신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2. 7.
  • 2019년 건축책 읽을 리스트 2월: Experiencing Architecture / Eiler Rasmussen3월: Ten Canonical Buildings: 1950-2000/ Peter Eisenman4월: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 An Anthology of Architectural Theory 1965 - 1995 / Kate Nesbitt5월: The Poetics of Space / Gaston Bachelard Complexity and Contradiction in Architecture / Robert VenturiConversations with Students (Architecture at Rice) / Louis KahThe Image of the City..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2. 7.
  • 머죠.. 이이상한 사이트는.. radiooooo.com radiooooo.com 최근 알게된 음악 타임머신이라는 신박한 컨셉의 노래 스트리밍 사이트 나라와 시대를 선택하면 그당시 그나라에서 듣던 노래를 들을 수 있다. 1930년대 우리나라 노래를 선택했더니 오빠는 풍각쟁이가... 나오는 80년대 북유럽 노래라던가 동시대의 아프리카대륙의 노래라던가 의외로 엄청난 노래를 발견할 수 있다.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1. 26.
  • [2019. 1.22] 01. 도요 이토의 어린이 건축학교, 이토 도요 외 3인 보수적인 교육구조때문에 건축교육은 하지않는다는 건축가 토요 이토가 설립한 어린이 건축학교의 교육방식과 결과에 대한 책. 어린이 교육에 관련된 이야기지만 그의 건축관과 건축에 대한 원초적인 생각이 무엇인지 들여다 볼 수 있는 책이였다. 1년 코스의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건축에 대한 기본 이해와 건축 설계에 대한 체험을 목적으로 하는 건축교육프로그램. 첫학기는 집, 두번째 학기는 마을 첫번째로 집을 위해서 자연의 요소를 도입하여 그룹별로 빛, 불, 물 등을 선택하여 "빛"과 같은 집을 설계하는 것 자신이 선택한 자연에서 연상되는 단어를 나열하게 하여 개념화시키고 그것을 구현하기위한 방법을 생각하게 한다.그 구현을 위하여 실질적 방법들을 알려주는데 그 방식도 새롭다. 네모난 창문에 한지를 단 프레임/돌모..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1. 25.
  • omg!!!!!!!!!! they are so !!!!!!!!!!!!!!! amazzzzzzing!!!!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1. 8.
  • #14 Floating hut_tomohirp hata architects ​​​​​​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10. 18.
  • 2017.06.05 대마도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9. 11.
  • #13-8 Apartments in Gràcia _ Raimon Farré Moretó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24.
  • #12-Gauthier House_Atelier Barda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24.
  • #11-Graham and angus House_DTR Studio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24.
  • #10-Kitasenzoku Apartment _Tomoyuki Kurokawa Architects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24.
  • #09-Alvar Aalto House_Alvar Aalto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24.
  • #08-la muralla roja_Ricardo Bofill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10.
  • #07-Yi She Mountain Inn/ DL Atelier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10.
  • #06-Lost Villa Boutique Hotel in Yucun / Naturalbuild 01. Ground Floor 02. Second Floor 03. Exterior Perspectives 04. Interior Perspective 공감수 2 댓글수 0 2018. 7. 5.
  • 테마 현대 미술 노트 "시간"을 인지하는 것, 시간성은 사람에게 감동을 준다. 영화 "보이후드"에서 한 아이의 12년 소년기를 보며 먹먹해지고, 사그리아 파밀리아 성당의 스테인드 글라스를 투과해서 들어오는 빛을 보며 신의 시간을 느끼기도 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시간, 즉 시간의 개념은 시대 또는 문화권마다 상이하게 나타나는데 전통적인 동양철학에서 시간은 순환적이고 유대/기독교에서는 선형적이며 근대 과학과 문화에서는 상대성과 동시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개념은 미술사에서 명백히 들어난다. 동양철학 중 순환적 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윤회사상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지 못한 사람은 삶이 거듭된다는 믿음을 갖는 것으로 불교회화에서 종종 드러나는 주제이다. 선형적 시간개념은 무한히 연속되는 시간으로 과거, 현재, 미래가 연결되는 개..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5. 23.
  • Rose Wiley 늦은 나이에 그림을 시작한 할머니 작가라는데 그림이 너므 좋다. 주제도 너무나 일상적이도 동시대적인데 구상과 작화가 joyful 하면서도 상투적이지 않다니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4. 12.
  • 18. 인류학자처럼 여행하기_로버트 고든(2010)_01월4주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2. 6.
  • 17. 청춘의 문장들_김연수(2004)_01월3주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1. 30.
  • 16. 공항에서 일주일을_알랭 드 보통(2009)_01월1주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1. 30.
  • 15. 어떻게 살 것인가(2013)_유시민12월4주 어떻게 살 것인가의 첫장에서 그의 삶과 크라잉넛 밴드의 삶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작가의 삶을 회고하며 하루하루 열심히 살았으나 목적을 갖고 살지 않았음을 느꼈고 본인의 삶을 설계하지 않고 닥치는 대로 살았음을 실토한다. 열심히 사는것과 닥치는대로 사는것은 반대가 아니라 같은 방향일수도 있다고. 내가 원하는 삷을 열심히 사는게 맞다. 크라잉넛의 경우 비록 열심히는 안살았을 수도 있지만 (그렇게 책에서 나오지는 않지만) 일찍이 어렸을 때 부터 원하는 것을 알았고 그렇게 지금도 살고 있다. 첫번째는 목적이 있는 삶을 살자이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은 최고로 통한다. 돈을 생산하는 일을하는 것이 가치의 기준이 되고는 한다. 더이상 돈은 자원의 교환을 위한 통화가 아니라 기준 또는 목표가 되었다. 인생의 성공은 .. 공감수 1 댓글수 0 2017. 12. 24.
  • 2018년 올해 읽을 책 01. Architectural Representation and the Perspective Hinge02.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03. Signs symbols and architecture04. Poetics of architeture05. Collage city06. 라파엘 모네오가 말하는 8인의 건축가07. 건축과 유토피아08. Architectural uncanny09. The death of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10. Architecture theory since 196811. 차이와 반복12. experience architecture13. since 1900 modern architeture14. thinking architecture15. atmosphe..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2. 6.
  • 14. 나의 친애하는 적_허지웅(2016)_9월3주 이책은 영화, 책, 사회문제들에 관한 그의 생각을 쓴 책이다. 꺽이지 않으려고 하는 태도로 설명도 가르침도 아니라 자신의 생각을 너무나 솔직하고 직관적이고 똑바르게 이야기하고 있다. 아래는 이 책 속 잊고 싶지 않는 문장들 책_책은 그것을 쓴자가 자기 딴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아이디어와 문장, 정확한 단어들을 탈탈털어넣은 기록이다. 탈탈 넣었기에 작가의 입장이네서 이것은 매우 친절한 텍스트이나 ㅇ독자의 입장에서는 그렇지 않다. 그들은 매워야하는 구멍을 경험, 읽었던것 기억과 지식들을 동원하여야한다. 또는 그동안 잊고 지냈던것을 깨달아야만 한다. 지금모래를 퍼내고 계십니까_"과연 노동에는, 목적기 없이도 여전히 도망쳐가는 시간을 견디게 만드는, 인가니 개댈 언덕 같은것이 있는 모양이다"사람들은 엄청난..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25.
  • 13. 삶은 언제 예술이 되는가_김형수(2014)_9월1주 어떤공부가 필요한가 문학수업으로 3가지 문학을 한다. 평론을 한다. 산다. 이렇게 있다. 문학작품을 분석하며 문학을 배우지만 얻은것은 이데올록요, 잃은 것은 예술이다.문학 만 하려니까 삶에 대해서 모른다. 일(경험)을 한다. 그러나 세속적인 삶(일만 계속하거나)을 계속 살면 그안에 문학이 들어선 자리가 없다. 따라서 그냥 산다. 가치관을 정립하며 산다. 문학적창작적 작가적 가치관 정립 문학적, 창작적, 작가적에 나를 더한다. 이는 문학관, 창작관, 작가관이 된다. 죽은 고래는 아무리 커도 물살이 흐르는 대로 흐르지만 송사리는 아무리 작아도 물살을 거슬러서 오를 줄 안다글을 쓰면서 창작방법의 한계를 끝없이 극복해가는것, 문학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문학을 사는것. 인식의 도구들 태도 및 사유가 시대에 따라 ..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9.
  • 12. 인생학교 돈_존 암스트롱(2013)_9월1주 이 책은 돈걱정에 관한 책라고 저자는 첫장부터 선언을 한다. 사람들은 간혹 돈문제와 돈걱정을 혼돈하는데 돈문제의 해결방안은 지출을 줄이거나 수입을 늘리거나 두가지이다. 돈에 관한 대부분의 이슈는 돈걱정이다. 이 돈걱정은 실체가 없어 해결방안이 많은 돈을 버는것 뿐이라는 생각에 언제나 불안감에 시달린다. 책은 대다수의 돈걱정의 실체는 이와의 관계의 불균형에서 온다고 본다. 걱정의 해결방안을 찾기위해 돈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관계를 재정립 또는 방안을 찾는다. 걱정->질문->해답 나의 경우 돈은 성공의 정도를 말해주는 기준이며 호감과 동일시한다. 하지만 이와 동시에 언제고 사라질수 있는 불안정적인것이라고 본다. 내가 자라온 환경은 부가 조금씩 축적되어 부동산을 산다던가 하여 결실을 맺는 것이 아니라 경제정세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9.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